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9

코딩) 스크롤 주사위 굴리기 See the Pen scrollEffect_dice by Webcorgi (@Webcorgi) on CodePen. 2023. 12. 22.
[VSCode] 사용법 + 단축키 + 추천 확장팩 모음 1. 단축키 1) ctrl + D => 현재 커서에 있는 단어 전체를 선택한다. 여러번 누를 경우 같은 단어들을 '동시에' 선택한다. 2) shift + alt + UP or DOWN => 현재 커서 줄 전체를 복사 3) ctrl + alt + UP or DOWN or 마우스 왼쪽 클릭 => 다중 커서 선택 4) ctrl + B => 편집기의 레프트 메뉴 열고 닫기 5) 그 외 단축키 커스터마이징 => 왼쪽 아래 설정 > 바로가기키를 누르면, 단축키를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다 !! - 추천 커스터마이징 단축키 설정 => '분할' 검색 후, 왼쪽 연필 아이콘을 클릭하면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데, ctrl + 화살표 조합으로 창 분할을 빠르게 할 수 있음. 6) ctrl + 1,2,3 숫자 => 창 분할 .. 2022. 12. 14.
tensorflow.js 찍먹해보기 (이미지 분류 from 생활코딩) 안녕하세요 웹코기입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제가 사랑하는 JS의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예전부터 관심있던 머신러닝 기술인 tensorflow.js을 드디어 맛보게 되었어요. 생활코딩을 통해 학습한 텐서플로우의 내용에 대해 공유합니다. 텐서플로우의 사용 방향 머신러닝 (기계학습) => 기계를 학습시켜서 인간의 판단능력을 기계에게 위임하는 기술 1. 텐서플로우를 이용해 해결하려는 문제는 ? '지도학습 영역의 회귀 문제' (말이 어렵다.. 내용을 풀어서 아래에 정리) 지도학습이 된 경우, 강아지의 이미지를 보고 '댕댕이'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 그렇다면 '지도학습'의 두가지 방식 1. 회귀 => 맞추려는 정보가 숫자일 때 2. 분류 => 범주형일 때 '회귀와 분류' 가 가능한 여러 알고리즘 중 머신러닝은 .. 2022. 8. 9.
reactNative) FCM 푸시알림 앱 내부에서 날리기 안녕하세요 웹코기입니다. 최근 파이어베이스에서 푸시알림을 날려서 앱에 받는 작업을 해봤는데요, 그 외에도 앱 내부에서 푸시알림을 만들어서 앱에 전달하는 방법을 작업해봤습니다. 그 내용을 공유합니다 !! react-native-push-notification 라이브러리 아래의 local notification라이브러리를 이용했습니다. https://github.com/zo0r/react-native-push-notification#local-notifications GitHub - zo0r/react-native-push-notification: React Native Local and Remote Notifications React Native Local and Remote Notifications. C.. 2021. 11. 12.
[백준/nodejs] 3052번 : 나머지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부터 열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 2 3 4 5 6 7 8 9 10 예제 출력 1 10 각 수를 42로 나눈 나머지는 1, 2, 3, 4, 5, 6, 7, 8, 9, 10이다. 문제풀이코드 let input = requ.. 2021. 8. 29.
[백준/nodejs] 2577번 : 숫자의 개수 문제 세 개의 자연수 A, B, C가 주어질 때 A × B × 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 = 150, B = 266, C = 427 이라면 A × B × C = 150 × 266 × 427 = 17037300 이 되고,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 1이 1번, 3이 2번, 7이 2번 쓰였다. 입력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크거나 같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는 A × B × C의 결과에 0 이 몇 번 쓰였는지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둘째 줄부터 열 번째 줄까지 A × B × C의 결과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2021. 8. 23.
반응형